모델의 정의

• 모델링
‐ 현실세계의 다양한 현상을 일정한 규칙을 가진 표기법에 의해 표현하는 것
‐ 데이터 관점 : 데이터와 데이터 간에 관계(WHAT)
‐ 프로세스 관점 :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관점(HOW)
‐ 상관 관점 : 일이 진행되는 과정에 데이터가 받는 영향을 모델링(Interaction)
• 모델링의 특징
‐ 추상화 : 현상의 핵심적인 부분을 일정한 형식에 맞추어 표현
‐ 단순화 : 복잡한 현상을 제한된 표현법으로 이해하기 쉽게 표현
‐ 명확화 : 불분명한 부을 제외하고 정확히 현상을 기술하는 것

 

데이터 모델

• 데이터 모델
‐ 다양한 사회 활동 특히 업무에 의해 사용되고 발생되는 데이터를 추상화한 것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모델링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데이터 모델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독립성 ,무결성, 중복 감소, 공유 가능, 표준화, 보안
• 모델링의 효과
‐ 중복의 감소
:불 필요한 중복으로 인해 정보의 무결성이 훼손되지 않는다.
‐ 유연성 강화
:변화하는 업무 시스템을 데이터 모델이 수용할 수 있다.
:데이터 구조의 안정성
‐ 일관성 유지
:업무내에 연관된 데이터 간 무결성을 유지해준다.

 

 

현실 업무와 모델링, DB

 

 

데이터 독립성과 3단계 구조

 

모델링과 개발 방법론 1

 

모델링과 개발 방법론 2

위 첫번째 방법론 뒤에 병렬식 방법론이 나왔다.

인력을 많이 사용해 시간비용을 줄임.

 

 

모델링 개요

• 기업의 정보 구조를 개체(Entity)와 관계(Relationship)를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표현하고 문서화하는 기법
• 정보 시스템의 중심을 데이터 관점에서 접근하는 분석 방법

• 개체 - 테이블 (table)

• 관계 - relationship

• 속성 - 컬럼

• 식별자 - primary key, foreign key

 

ERD(개체 관계도 : Entity relationship Diagra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