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컴퓨터가 RJ45를 통해 HUB에 연결된 것(왼쪽) / RJ45 (오른쪽)

컴퓨터는 HUB(허브)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우리가 사용하는 네트워크는 Ethernet(이더넷)이다. 

이더넷을 사용하는 이유는 가격이 싸고 구성하기 쉬워서 사용한다.

이더넷은 BUS형식으로 구성이 되며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Ethernet 구성

CSMA/CD (Carrier-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 이더넷 환경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방식

BUS형의 초기

이더넷 환경에서 통신하고 싶은 컴퓨터에 네트워크 상에서 먼저 통신이 일어나는지 확인하는 방식

* 캐리어: 네트워크에서 나타나는 신호

캐리어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면 데이터를 보내지 않고 통신이 없으면 데이터를 보낸다.

* 패킷: 네트워크에서 흘러가는 데이터

 

IP (Internet Protocol)

: 컴퓨터를 식별하는 주소

IP는 일종의 주민번호 같은 것

IP주소는 자신과 네트워크 주소가 같은 것 끼리만 통신한다.

다른 네트워크끼리 통신하려면 Gateway를 이용해서 외부로 나가 통신한다.

 

네트워크 주소 구하는 방법

: IP 주소와 Netmask를 AND(&)연산한다.

ex) IP: 192.168.10.201, Netmask: 255.255.255.0을 AND 연산

각 주소를 이진수로 바꾸고 연산 후 10진수로 변환한다.

보통 Netmask가 255인 경우는 이진수가 모두 1이므로 IP주소가 그대로 나오고 0이면 0만 나온다.

Network 주소: 192.168.10.0

 

IP address의 개수가 많지 않아 현재 사용하는 IP 주소는 재사용하는 것이 많다.

 

IPaddress의 부족을 NAT로 해결한다.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 네트워크 주소 변환

NAT는 하나의 IP주소를 여러 호스트가 사용한다.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 인터넷 접속을 서비스하는 곳

ex) SKT, KT, LG U+

ISP에서 IP주소 하나를 주고 NAT 서버를 이용해서 다수의 호스트가 하나의 IP주소를 사용한다.

NAT 서버는 공유기라고 불린다.

 

NAT 외부 → 내부 (X)

NAT는 외부에서는 내부 컴퓨터로 접속이 불가능하다.

외부에서 접근이 불가능해 내부 컴퓨터의 보안용도로 사용한다.

 

NAT 내부 → 외부 (O)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것은 가능한데, 내부 컴퓨터는 모두 같은 IP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내부 컴퓨터에서 외부로 나가는 것은 Gateway를 이용해서 나갈 수 있다.

Bridge 와 NAT

Bridge를 이용해 네트워크를 구성하면 외부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접속이 가능하다.

NAT는 외부 컴퓨터에서 내부 컴퓨터로 접속이 불가능하다.

 

NAT 내부 → 내부 (O)

NAT는 내부 컴퓨터끼리는 접속 가능하다.

 

NAT의 Network 주소는 같은 네트워크 주소를 사용하고 마지막 호스트만 다른 형식이다.

NAT 내의 호스트들은 같은 Gateway를 이용해 외부로 나간다.

보통 [ 192.168.XXX.XXX ] 이러한 주소는 NAT용으로 사용되는 주소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