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관련 프로토콜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네트워크 관리 및 오류 보고를 위해 사용
IP의 비 신뢰성, 비 연결성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사용되는 IP
** 시스템 경로 확인 : ping, traceroute(tracert)

tracert : 경로확인

 

ARP (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 상대방의 IP는 아는데 상대방의 MAC address를 모를 때 MAC address를 알아내는 프로토콜
상대방의 IP를 이용해 ARP 브로드캐스트를 날린다. -> 상대방은 Unicast로 자신의 MAC address를 알려준다.
Datagram에 MAC address를 붙여 Frame를 만드는데 여기서 상대방의 MAC address를 모르기 때문에 사용
[ ARP 특징 ]
- IP에 의해 자동 호출
- IP와 Ethernet뿐 아니라 다양한 링크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에 서 사용
- 보안 기능이 없기 때문에 스푸핑(spoofing) 공격에 취약 (막을 수 없어 사전에 예방 or 보안장비 사용)
(** 스푸핑: ARP 이용해 상대방의 패킷을 중간에서 가로채는 중간자 공격 기법)

 

RARP ( 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 자신의 MAC address를 이용해 자신의 IP가 무엇인지 알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현재는 거의 사용 X (DHCP 이전에 사용)

'네트워크 공부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itch  (0) 2022.01.11
IOS(Internetwork Operating System) 및 IP 설정  (0) 2022.01.05
네트워크 11 - NAT  (0) 2021.10.18
네트워크 10 - 네트워크 분할(서브네팅) 및 VLSM  (1) 2021.10.15
네트워크 9 - IP address  (0) 2021.10.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