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ware에서 Linux (CentOS) 설치하기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여기까지는 VMware에서 Windows10 설치와 같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리눅스를 선택해준다.
버전은 CentOS7 64bit를 선택한다.
이름을 설정하고 경로를 지정한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용량은 40기가로 설정한다.
설치가 된 것을 확인하고 Edit으로 들어가 USB, Sound, Printer는 필요 없으므로 제거한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Network는 브리지로 설정해야 다른 컴퓨터의 접속이 가능하다.
CD iso 이미지파일을 CentOS7 파일을 선택한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위와 같이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ower 버튼을눌러 실행한다.
CentoOS 7 설치하기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실행하는 모습이 보여진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Checking은 넘겨도 되므로 esc를 눌러 넘겨준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no-image-v1.png)
언어는 한국어를 선택한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소프트웨어를 선택한다. (최소 설치는 누르지 말기_ 표시 오류)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최소 설치가 아닌 GNOME 데스크톱을 선택한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kdump는 활성화할 필요가 없으므로 들어가 활성화 체크를 해제하고 완료한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파티션을 설치하기 위해 시스템 설치대상에 들어간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파티션을 설정합니다로 들어가면 파티션 설정하는 화면이 나온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표준 파티션으로 지정하고 +버튼을 누르면 파티션을 추가하는 화면이 나온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먼저 [ /boot ]를 마운트 지점으로 설정하고 용량은 500MB으로 지정한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파티션을 루트 밑에 boot라는 곳에 입력한 화면이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이번에는 마운트 지점을 swap로 설정하고 용량은 1024MB로 설정한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설정된 것을 볼 수 있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이번에는 루트 파티션을 설정한다.
용량은 설정을 안 해주면 나머지 용량 전체가 설정이 된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나머지 용량 전체가 루트에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완료한 후 변경사항 적용한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네트워크를 설정하러 네트워크 및 호스트명을 들어간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호스트 이름을 지정하고 적용한 후 설정으로 들어간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방식을 수동으로 설정하고 Add 클릭해 주소추가 화면을 확인한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주소, 넷마스크, 게이트웨이, DNS 서버를 입력한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켬을 누르면 잘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완료를 누르면 설정 완료가 된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그 후 설치 시작을 누르면 설치가 된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설치되기 전에 사용자를 생성하고 ROOT 암호를 입력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https://blog.kakaocdn.net/dn/byE9KI/btrhqLlUCLW/syv0SkKa4RmHtiDIYTF63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CCyxY/btrhhSF8DkY/ujMum2kSso0MKAhK5bft21/img.png)
설치 화면을 확인한다.
설치가 된 모습을 확인하고 재부팅한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라이선스에 동의해서 설정 완료하면 재부팅된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여기서 실행은 안 하고 PuTTY에서 설정해 사용할 것이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설정이 완료되면 CD/DVD에서 Use physical drive를 사용하는 것으로 바꿔준다.
PuTTY 설정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IP address를 작성하고 Save를 눌러 자주 사용하기 위해 저장한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Load를 하고 Open 하면 경고창이 뜨는데 예를 누르면 실행된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root로 로그인하고 password를 입력하면 접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리눅스 컴퓨터를 끄는 명령어 poweroff이다.
poweroff를 사용하면 컴퓨터가 꺼진다.
'리눅스 공부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1 - 기초 명령어1 (cd, pwd, rmdir, mkdir, ls, 리다이렉트, cat, echo, cp, mv, rm) (0) | 2021.10.14 |
---|---|
리눅스 IP 확인 및 X Window에서 IP주소 바꾸기 (0) | 2021.10.13 |
리눅스 기초 - 명령어 표기 및 디렉토리 표현 방법 (0) | 2021.10.13 |
PuTTY 사용하기 (0) | 2021.09.30 |
VMware에서 NAT 설정 및 VMware에서 NAT 환경에서 Windows 설치 (0) | 2021.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