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 CD 삽입 후 진행

 

cd에 있는 패키지를 담을 경로 생성

mkdir -p /localrepo

 

cd 파일을 해당 디렉토리로 복사

cp -rv /run/media/root/OL-7.6\ Server.x86_64/Packages/ /localrepo/

 

기존 Online Repository 설정 파일 이름 변경

[root@rac1 ~]# cd /etc/yum.repos.d/
[root@rac1 yum.repos.d]# ls -alrt
total 32
drwxr-xr-x.   2 root root    54  1월 30 15:40 .
drwxr-xr-x. 145 root root  8192  1월 30 15:32 ..
-rw-r--r--.   1 root root 13093 11월  2  2018 public-yum-ol7.repo
[root@rac1 yum.repos.d]# mv public-yum-ol7.repo public-yum-ol7.repobak

 

새로운 로컬 repository 설정

[root@rac1 yum.repos.d]# vi /etc/yum.repos.d/local.repo 
[local]
name=localrepository
baseurl=file:///localrepo/
enabled=1
gpgcheck=0

 

Local Repository 업데이트

[root@rac1 yum.repos.d]# createrepo /localrepo/
Spawning worker 0 with 5241 pkgs
yum clean all
 
Workers Finished
Saving Primary metadata
Saving file lists metadata
Saving other metadata
Generating sqlite DBs
Sqlite DBs complete

 

/localrepo 디렉토리 밑에 repodata 디렉토리가 생겼는지 확인

[root@rac1 yum.repos.d]# ls -alrt /localrepo/
합계 352
drwxr-xr-x.  4 root root     38  1월 30 15:41 .
dr-xr-xr-x. 18 root root   4096  1월 30 15:37 ..
drwxr-xr-x.  2 root root 274432  1월 30 15:39 Packages
drwxr-xr-x.  2 root root   4096  1월 30 15:41 repodata

 

repomd.xml 파일이 생성되었는지 확인

[root@rac1 yum.repos.d]# cd /localrepo/repodata/
[root@rac1 repodata]# ls
2229e465c089ad17a9c470a22502116def92d4cb4c82b33b6200a9384db7c763-primary.sqlite.bz2
35b5a30cc34c9d2db21706541b6885d8c6d047c2de39d4bda5b2c98b8afea27c-other.xml.gz
7739df8a74574ba6ca9d54f913cf91b96aaa80eb495eabf8575c5225b78e9404-primary.xml.gz
8d34ced6e2b49dcf62b34796c553434c8a95d9d5dfffce6fe26b06e5b410c9ec-filelists.sqlite.bz2
ce3b2889a285d2910c8e5a30387183c5188e9606d61ba62c865c12035ac1bbc8-filelists.xml.gz
fad50d91cc416a3498f898cc298d64fc34b345c5cea9a5877493452d5dd5feec-other.sqlite.bz2
repomd.xml

 

기존 yum data 삭제

[root@rac1 repodata]# yum clean all

 

repolist 불러오기

[root@rac1 repodata]# yum repolist

 

패키지 설치

yum install -y [패키지명]

 

참조: https://positivemh.tistory.com/470

CentOS5 및 CentOS6 설치하기 및 epel, rpmforge 추가하기

- 실습 내용 -

CentOS 5,6,7에 각각 epel, rpmforge를 추가한다.

CentOS6 epel, rpmforge 파일 예시
epel-release-6-8.noarch.rpm
rpmforge-release-0.5.3-1.el6.rf.i686.rpm
파일을 설치하고 repository 목록을 확인한다.

[ yum repolist ] 입력해 목록 확인

 

CentOS5 설치하기

영어로 설치해주기!!!

한국어로 설치시 설치할 파일 선택해주기

CentOS5는 32bit이므로 위와 같은 버전을 선택한다.

 

test는 스킵한다.

 

영어를 선택해준다.

한국어로 선택할 경우 마지막에 설치할 파일을 지정해 설치해주면 된다.

다음을 누르면 초기화할 것인지 물어보는데 초기화하기를 눌러준다.

 

 Custom layout 을 선택해주고 다음 (영어버전 / 한국어버전)

 

파티션을 만들어 준다.

/boot 를 500MB으로 만들어준다.

 

swap를 1024MB로 만든다.

 

/ 를 나머지 용량으로 채운다.

 

IP주소와 netmask를 설정해준다.

 

호스트명을 설정하고 게이트웨이, DNS를 설정한다.

 

시간은 나중에 따로 설정해도 되므로 다음을 누른다.

 

root 암호를 설정한다.

 

Gnome 을 선택하고 다음을 누른다.

 

다음을 누른다.

 

한국어로 설정해 설치할 경우 더 많은 기능이 설치되면서 오류가 뜨게 되는데 영어로 설치하면 오류가 안뜬다.

 

설치가 끝나면 리부트를 눌러 다시 켜준다.

 

방화벽은 disabled를 설정한다.

 

selinux도 disabled를 설정한다.

 

사용자를 생성한다.

 

PuTTY로 잘 접속되는 것을 확인한다.

 

CentOS 5에 epel, rpmforge를 추가하기

epel-release-5-4.noarch.rpm
rpmforge-release-0.5.3-1.el5.rf.i386.rpm
파일을 설치하고 repository 목록 확인

 

파일을 다운받기 위해 FTP 로 접속한다.

FTP를 이용해 위와 파일을 다운받는다.

 

잘 다운받은 것을 확인한다.

[ rpm -Uvh 파일명 ] 을 통해 다운받는다.

 

[ yum repolist ] 입력해 잘 다운되었는지 목록을 확인한다.

 

CentOS6 설치하기

CentOS6는 64bit이므로 위와 같은 버전을 설정한다.

 

test는 스킵하고 다음을 누른다.

 

한국어를 선택하고 키보드는 영어를 선택한다.

 

기본 저장장치를 선택한다.

모든 데이터를 삭제한다.

 

호스트명을 지정한다.

 

IP주소와 netmask, gateway를 설정한다.

 

설치하고 난 뒤 설정을 바꿀수도 있다.

 

시간은 나중에 설정할 것이므로 다음을 누른다.

root 암호를 설정한다.

 

사용자 레이아웃 만들기로 설정한다.

표준파티션으로 설정한다.

 

/boot 는 500MB

swap는 1024MB 설정한다.

 

/ 는 나머지 용량으로 설정한다.

위와 같이 생성된 것을 확인한다.

 

포맷을 누른다.

 

다음을 누른다.

 

 desktop를 선택하고 다음을 눌러 설치하고 리부트 한다.

 

라이센스 정보는 동의하고 사용자 계정을 등록한다.

 

kdump는 비활성화로 하고 다음을 눌러 root로 로그인하기위해 기타를 누른다.

 

root로 로그인 되는것을 확인한다.

 

CentOS 6에 epel, rpmforge를 추가하기

epel-release-6-8.noarch.rpm
rpmforge-release-0.5.3-1.el6.rf.i686.rpm
파일을 설치하고 repository 목록 확인

 

ftp를 설치하기위해 CentOS6 의 VMware를 들어간다.

위와같이 [ VM > Removable Devices > CD/DVD > Connect ]를 누르면 iso파일이 활성화된다.

 

/로 이동해 media 디렉토리로 이동해 CentOS_6.10_Final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Packages 디렉토리로 이동해 ftp 설치파일을 다운받는다.

[ cd /media/CentOS_6.10_Final/Packages ] 이동후 ftp 다운

 

ftp로 들어간다.

epel-release-6-8.noarch.rpm
rpmforge-release-0.5.3-1.el6.rf.i686.rpm

위 두 파일을 다운받는다.

 

파일을 설치한다.

 

[ yum repolist ] 입력해 잘 다운되었는지 목록을 확인한다.

 

CentOS7

위와 같은 방법이므로 설명은 생략하고 사진만 첨부

 

ftp에서 파일 다운한다.

 

파일을 다운받는다.

 

목록을 확인한다.

 

RPM

: Redhat 사에서 제공하는 리눅스용 프로그램을 배포하는 기술

프로그램의 설치, 검증, 삭제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

 

RPM 패키지의 구조
[ 패키지명-버전-릴리즈.아키텍처.rpm ]

 

질의

rpm -q : 질문
# rpm -qa : 시스템에 설치된 모든 패키지명
# rpm -qi 패키지명 : 패키지의 상세한 정보
# rpm -ql 패키지명 : 패키지의 파일 리스트
# rpm -qf 파일명 : 지정한 파일이 포함된 패키지

 

설치 및 업그레이드
# rpm [-ivh | -Uvh | -Fvh] 패키지명
옵션
-i : 설치
-U : 업그레이드 (이전버젼 미설치시 -i와 동일)
-F : 업그레이드만
-v : 설치과정 출력
-h : 설치정도 출력 (#)

 

삭제
# rpm -e 패키지명
: 지정한 패키지를 삭제

 

추가 옵션
옵션
--nodeps : 의존성을 무시하고 작업한다.
(삭제에 주로 이용)
--force : 같은 버전의 패키지나 파일이 있어도 무시하고
작업진행
--oldpackage : 다운그레이드시 사용

 

YUM (Yellowdog Updater Manager; Modified)

: rpm의 고질적인 문제인 의존성을 해소하기 하기 위한 패키지 기술로 RPM과 동일한 형식의 설치 구조를 지원한다.
YUM은 인터넷 repository를 이용하는 기술로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다면 지원되는 모든 프로그램을 설치 관리 할 수 있다.

 

yum list
• 패키지를 확인한다.
# yum list [installed]
• 설치 가능한 모든 패키지 목록을 보여준다.
• Installed : 설치된 패키지 목록을 보여준다
# yum list [패키지명]
• 지정한 패키지의 설치 여부를 확인한다.

 

검색 추가 옵션
• repolist, search, provide
# yum repolist
• 시스템에 등록된 repository list를 출력한다.
# yum search 문자열
• 패키지명이나 description에 문자열이 포함된 패키지들을 출
력한다.
# yum provides 경로/문자열
• 문자열이 포함된 파일이 소속된 패키지들을 출력한다.

 

설치
# yum install [-y] 패키지명
• 패키지를 repository로 부터 설치한다.
 

업데이트
# yum update [-y] 패키지명
• 패키지를 repository로 부터 업데이트한다.

 

삭제
# yum remove [패키지명]
• 지정한 패키지를 삭제한다.

 

초기화
# yum clean headers
# yum clean packages
# yum clean metadata

 

 

RPM 실습

ssh 파일 확인하기

(파일명에 경로명 포함하기)

 

리눅스에서 iso파일 설치하기

마운트할 디렉토리 생성하고 /cdrom 으로 마운트하고 vsftpd 를 설치하기 위한 rpm 파일을 설치한다.

 

ntsysv 로 vsftpd.service가 설치된 것을 확인한다.

 

 

+ Recent posts